빌 애크먼이 현재 하락장의 근본적인 원인인 인플레이션을 멈추기 위해선 연준이 더욱 공격적으로 행동하거나 시장이 붕괴되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
이 경우에만 인플레이션이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. 이 두 경우가 아니라면 인플레이션이 감소할 전망은 없다고 밝혔습니다. 반대로 연준은 슬슬 시장 눈치를 보는 듯합니다. 연준 위원들의 발언을 살펴보면 소비 심리를 어느 정도 악화시켰다고 판단한 듯 보입니다. 보스틱 총재는 향 후 두 차례 회의에서 50bp씩 금리를 인상하는 것은 당연시 생각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이후 9월부터는 인플레이션 상승에 따라 25bp 인상될 수도 50bp가 될 수도 혹은 금리인상을 중단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. 또 조지 총재의 발언을 살펴보면 현재 증시 상황의 영향으로 50bp 금리 인상을 지지하는 입장이 달라지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. 즉, 8월까지 2%까지의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한 겁니다. 보스틱 총재의 발언과 마찬가지로 향 후 두 번의 회의에서 각각 50bp 금리인상을 지지한다고 밝힌 겁니다.
그리고 제레미 시겔은 현재 시장은 5% 이내 바닥권에 와있다고 얘기 했습니다.
즉, 여기서 더 떨어져도 -5% 라고 말한겁니다. 그 이유를 간단하게 살펴보면 최근 하락한 시장이 인플레이션을 대체했고 반영했다고 말했습니다. 금일 미국 주식은 나스닥이 유독 크게 하락했습니다. 그 이유는 스냅이 인플레이션, 전쟁, 애플 보호 정책으로 인해 2분기 가이던스 미달과 거기에 채용까지 보수적으로 한다고 밝히면서 관련된 기술주들을 모조리 끌어내렸습니다. 다우는 0.15% 상승했고 S&P500은 0.8% 하락한 반면 나스닥만 2.35% 급락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그나마 다행인 점은 이 불안감이 하루 만에 어느 정도 반영이 된 듯 보입니다. 미국 10년 물 국채 금리는 2.761까지 내려왔습니다.
여러분은 인플레이션이 안잡힐거라 생각하시나요?
전쟁이 안끝날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? 이번 중국과 러시아와의 신 냉전으로 들어서면서 미국이 쇠퇴하고 세계 1위 국가 타이틀을 내줄 것이라 생각하시나요? 중국이 만약 몇십 년 뒤 세계 1위 국가가 되더라도 중국 주식이 미국 주식처럼 우상향 할까요? 투명성을 찾아볼 수 없는 나라에 우리가 확신을 가지고 투자를 할 수 있을까요? 약세장은 주식에 돈을 넣으면 항상 만날 것이고 경기침체 역시 항상 만날 겁니다. 그리고 우리가 바라는 상승장도 만날 겁니다. 그 모든 것을 만나면서도 결국 우상향 하는 곳에 투자하는 겁니다. 투자에 대한 대가는 지금의 고통이라는 말이 있습니다. 이 고통을 참고 견뎌내야 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. 그 고통이 힘들다고 그만둔다면 결과물을 얻을 수 없을 것입니다. 미국 주식은 무조건 장기 투자라고 생각합니다. 30대 중반의 나이이지만 10년을 보고 투자를 한다면 40대에는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있다고 믿으며 투자하고 다들 성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.
댓글